
기자들을 비롯한 영화계 관계자들에 의하면 일명 흥행하는 작품들은 시사회부터 분위기가 다르다고 합니다.
시사회가 끝나고 기립박수를 치거나 분위기가 좋은 영화들은 대체 흥행성적이 좋은 편이라고 하는데요.
그러나 여기 최악의 분위기로 시사회를 망쳤음에도 역대 한국 영화 관객 순위 12위, 1200만 명을 기록한 명작이 있습니다.

이 영화는 바로 2005년 개봉했던 이준익 감독의 영화 ‘왕의 남자’ 였는데요. 해당 작품은 당시 재관람 열풍이 불만큼 뜨거운 인기를 자랑했죠.
게다가 ‘이준기’ 라는 최고의 라이징스타가 탄생했으며 오랜 무명이었던 이준익 감독도 천만영화감독이자 스타감독으로 발돋움하게 만들어준 작품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의 남자’에 참석했던 대부분의 영화계 관계자들은 이 영화가 흥행하지 못하고 망할것이라고 예상했다고 하는데요.
최근 한 프로그램에 출연한 장항준 감독은 자신이 여태까지 가보았던 시사회중에 가장 분위기가 안좋았던 작품은 왕의 남자라고 밝혔습니다.
이유는 바로 왕의 남자 작품의 내용에 있었는데요. 왕의 남자의 내용은 조선의 왕이 광대 패거리의 한 남자와 사랑에 빠진다는 동성애적 요소를 담고 있습니다.

당시에는 더욱 폐쇄적인 사회적 분위기로 인하여 동성애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은 지금보다 훨씬 더 최악인 상황이었는데요.
이때문에 영화속에서 남자인 왕과 광대가 키스를 하고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나오면 대중들에게 반감을 사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했죠.
시사회에 참석한 사람들 또한 해당 장면과 함께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이 공개되면서 당혹스러움을 감출 수 없었다고 하는데요.
게다가 위와 같은 이야기가 업계에 빠르게 퍼져 왕의 남자는 개봉 당시 고작 300여개의 스크린밖에 확보할 수 없었습니다.
같은 천만영화인 ‘어벤져스2 : 에이지 오브 울트론’ 이 무려 1700개의 스크린을 가지고 시작한 것을 본다면 왕의 남자가 얼마나 불리한 조건이었는지 감이 오실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의 남자는 잘 짜여진 구성과 유해진, 이준기 등의 배우들의 신선한 매력이 더 해져 엄청난 흥행을 하게 되는데요.

온라인으로 재밌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예매가 폭주하기 시작했고 뒤늦게 스크린 수 또한 엄청나게 확장되며 결국 천만 영화에 입성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지금은 명작으로 치부되는 영화 왕의 남자에 아무도 모르는 이야기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