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히려 건강을 해칩니다” 발암물질을 만드는 잘못된 요리 방법 3가지



안녕하세요~ 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를 전해드립니다! 💪당신도 건강하고 싶은 건강?

높아진 물가와 외식에 대한 불신때문에 집에서 요리를 해먹는 현대인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잘못된 요리 방법으로 인해 나도 모르게 발암물질을 생성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발암물질을 생성하지 않는 올바른 요리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들기름을 조심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살펴보셔야 할 것은 저온 압착한 생들기름을 구입하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온 압착한 생들기름 구매 들기름을 더욱 고소하게 만들고 기름도 더 많이 짜내기 위해 들깨를 고온에 볶아 기름을 추출하는 경우 벤조피렌이라는 강한 독성에 발암물질이 생성됩니다.

​벤조피렌은 국제암연구소 독성 분류에서도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된 물질인데요.

​벤조피렌에 꾸준히 노출되거나 섭취할 경우 암에 걸릴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저온 압착 들기름을 구별하는 또 다른 방법은 저온 압착 들기름은 노란 황금빛을 띠고 고온 압착한 들기름은 갈색을 띠기 때문에 들기름을 구별할 때 색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베이컨은 바싹 익히지 마세요!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공중 보건 대학 역학 학부에서 육류 섭취율과 육류 조리과정을 조사한 결과 완전히 익은 고기가 들어 있는 햄버거, 쇠고기 스테이크, 베이컨을 지속해서 섭취한 여성은 중간 또는 거의 익지 않은 고기를 섭취한 여성보다 유방암 위험도가 4.62배로 높았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고온에서 조리된 붉은 육류, 가금류, 어류에서 형성되는 화학물질인 헤테로 사이 클릭 아민(HCA)에 노출되면 유방암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는데요.

HCA는 다른 조리된 육류보다 튀긴 베이컨에 많이 포함 되며 암을 유발하는 물질 N-나이트로소 화합물(NOC)로 전환되는 물질인 아질산염이 풍부합니다.

베이컨을 튀길 경우 아질산염이 NOC로 전환되는 과정이 촉진되고, 암과 관련이 있는 최종당산화물(AGE)이 생성됩니다.



고기 구울때 후추 뿌리지 마세요!

우리는 고기의 잡내를 없애고 풍미를 더 하기 위해 우리는 향신료인 후추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후추를 뿌려 고기를 굽게 되면 ‘아크릴아마이드’라는 유해 물질이 최대 14배까지 증가하게 됩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신경계통 이상을 초래하는 발암물질로 후추, 감자 등에 소량 포함되어 있으며 120°C 이상의 고온에서 가열하게 되면 발생하게 됩니다.

아크릴아마이드를 소량 섭취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다량 섭취하게 될 경우 건강에 극심한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데요,

음식을 삶거나 국을 끓이는 경우에는 온도가 120°C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늘어나지 않지만 고기를 구울 때 뿌리는 경우 고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발암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가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후추에 익숙한 우리는 후추가 뿌려진 고기가 먹고 이럴 땐 고기를 다 구운 뒤 후추를 나중에 뿌려 드시면 됩니다.

본인의 나이가 40대 이후라면 적어도 2년에 한 번 씩은 내시경 검사를 받길 권합니다.


현재 지역별로 전국민 6차 재난지원금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50만 원 이상의 금액을 받을 수 있는 곳들도 있으니 놓치지 마시고 신청하세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장기간 피해를 입은 국민들에게 최대 15만 원의 코로나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놓치지 마시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