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찬통 뒷면 용기 번호를 확인하세요” 발암물질을 대량 생성하는 반찬통 뒷면 용기 번호들



안녕하세요~ 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를 전해드립니다! 💪당신도 건강하고 싶은 건강?

플라스틱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정말 셀수도 없는 다양한 물건들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끊임없이 사용되고 있지만 암과 당뇨, ADHD, 자폐증을 유발하는 호르몬 물질도 포함되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발암물질을 생성하는 플라스틱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 PETE

플라스틱 번호 1번 PETE는 페트병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독성은 없어서 음식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내구성도 좋아 실용적인 플라스틱인데요.​

하지만 재사용시 박테리아가 번식할 확률이 높아져 호르몬 불균형을 일으킬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고온에서 발암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을 가하거나 뜨거운 것을 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2번 HDPE

플라스틱 번호 2번 HDPE는 샴푸나 세제등 각종 생활용품과 아기 장난감에도 많이 활용됩니다.

​안전한 재질에 속하는 플라스틱 번호이며 튼튼하고 열을 가해도 괜찮습니다.

안심하고 사용 할 수 있어 가격은 높은 편에 속합니다.

3번 PVC

플라스틱 번호 3번 PVC는 V로 표기 되기도 합니다.

흔히 변형되는 플라스틱을 의미하는데 샤워커튼이나 지우개 등 각종 생활용품에 많이 쓰입니다.​

주방에서 많이 쓰이는 비닐 랩도 여기에 속하는데 사실 PVC는 음식에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답니다!

빛이나 열을 받으면 독성 화학물질이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PVC에서 나오는 프탈레이트라는 화학물질은 DNA를 파괴시켜 유산, 기형아 출산의 원인이 되고 ADHD와 같은 질환도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4번 LDPE

플라스틱 번호 4번인 LDPE는 음식을 담는 각종 식용품 용기뿐만 아니라 비닐봉지, 비닐장갑에 주로 쓰이는 플라스틱입니다.

​LDPE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편의 플라스틱이며 화학성분이나 독성이 나오지는 않지만 그래도 재활용해서 쓰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5번 PP

플라스틱 번호 5번인 PP는 비교적 자주 접할 수 있는 플라스틱인데 밀폐용기나 컵 등 음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유해성은 없는 안전한 플라스틱에 속하며 카페 음료의 빨대나 텀블러에도 자주 쓰이고 있습니다.

높은 온도를 잘 견디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 사용이나 끓는 물 소독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6번 PS

플라스틱 번호 6번 PS는 주로 스티로폼 재질로 컵라면 용기나 카페의 테이크아웃 잔, 숟가락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PS는 고온에서 발암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실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위험해요.

각종 신경, 유전 독성의 원인이 된다고 하니 앞으로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는 사용하지 않아야겠죠?

7번 OTHER

마지막 플라스틱 번호 7번인 OTHER은 2가지 이상의 재질이 합성된 플라스틱을 뜻합니다.​

OTHER의 경우 합성된 성분에 따라 특성이 달라져 쉽게 안전한지를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플라스틱 번호 7번인 플라스틱을 활용할 때는 플라스틱 성분을 유심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현재 지역별로 전국민 6차 재난지원금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50만 원 이상의 금액을 받을 수 있는 곳들도 있으니 놓치지 마시고 신청하세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장기간 피해를 입은 국민들에게 최대 15만 원의 코로나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놓치지 마시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