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아지겠지 하고 그냥 넘겼죠.” 방치하면 안면마비 난청 등 심각한 증상을 발생시키는 이 질병

물놀이를 즐기는 여름철은 외이도염 환자가 증가하는 계절입니다.

또한, 이어폰을 자주 이용하거나 평소 수영을 취미로 하시는 분들의 경우도 주목하셔야 되는데요.

잘못 관리하면 청력을 저하시키고, 안면신경마비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외이도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외이도염이란?

외이도는 귀의 입구에서 고막에 이르는 관으로 기온과 습도는 물론 세균, 곰팡이, 외부자극 등에 의해 각종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곳입니다.

외이도염은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인데요.

지속 기간, 증상 정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여름철인 7월과 8월에 유독 발병률이 높은 편입니다.

외이도염 증상

급성 외이도염의 증상은 동통, 가려움증, 이충만감, 청력감소 등이 있으며, 만성 외이도염은 수개월 또는 수년간 계속되는 약한 정도의 감염과 염증이 외이도에 반복적으로 발생합니다.

가려움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외이도 피부는 특징적으로 두꺼워져 있습니다.

또한, 악성 외이도염은 외이도 피부의 두꺼워짐과 함께 귀에 심한 통증과 분비물이 있고, 더 심해지면 안면신경 마비 및 다른 뇌신경의 마비 증세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외이도염 치료법

보통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점점 악화한다면 2차 감염으로 인해 만성 중이염으로 커지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만성 중이염이 심해지면 청력손실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별것 아닌 증상으로 간과하면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질환은 안의 분비물을 없애주고 귀안에 넣는 약을 사용하거나 섭취하는 약을 먹어주면 외이도염 치료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외이도염을 발생시킬 원인이 있을 때에는 해당 원인을 없애고 평소 귀를 소독해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고 항생제나 진통제 등을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외이도염 치료가 가능합니다.

만일 고름 주머니가 생겨났다면 절개를 진행해 안에 있는 고름을 없애주어야 해요.

귀를 파게 되면 외이도 벽면이 손상되는 원인이 될 수 있어 가려울 수 있고 진물이나 통증이 나타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외이도염 치료나 예방법은 기본적으로 귀를 너무 자주 파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평소에 귀가 가려운 느낌이 들더라도 안에 손가락이나 면봉을 넣어 자극하는 것은 피해 주는 것이 좋아요.

점점 이러한 가려움 증상은 사라질 수 있으며 2주 정도 방치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인 외이도염은 이처럼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으로도 쉽게 치유되기도 하며 질병 등을 동반한 경우 반드시 이른 시일 내에 방문해 전문의를 통한 상담을 받는 것이 좋아요.

외이도염 예방법

최대한 귀안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주의해 주는 것이 좋으며 귀안에 손가락이나 휴지 등 아무런 것도 넣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귀를 후비거나 자주 파면 외이도에 자극을 주어 상처의 원인이나 외이도염을 발생시킬 수 있어 주의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영하게 될 경우에는 수영모를 귀 아래까지 확실하게 써서 물이 귀안에 들어가는 것을 예방해 주는 것이 좋으며 수영하고 나서 샤워를 한다면 드라이어의 약한 바람을 통해 귀안의 물기를 확실히 말려주는 것도 좋습니다.

귀지가 많아서 귀를 파고 싶을 때도 인위적으로 귀지를 제거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심하게 가려울 경우에는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여 진료받아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