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예전에는 자동차나 가방에 껌을 구비하고 다니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양치할 여건이 되지 않을때나 졸음을 쫓을때 껌처럼 유용한 아이템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는 껌을 삼키는 것이 몸에 매우 나쁜 것으로 전해져 오고 있는데요.
껌을 삼키게 되면 몸에서 무슨 일이 발생하는지 이 글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껌을 삼키면 안되는 이유
대부분의 껌은 처음에 씹으면 고유 제품의 향과 함께 단 맛이 나는데요. 이는 껌을 씹을 때 나오는 당 성분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껌을 씹게 되면 아무런 맛이 나지 않는데요. 보통 10분이 넘어가면 고무를 씹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 상태가 됩니다.
우리의 몸은 껌을 분해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껌을 삼키면 결국에 우리 뱃속에서 덩어리 그대로 남게 되는데요.
단맛과 향을 내는 향료는 몸에 들어가자마자 녹아 배출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그러나 껌의 기초제는 분해되어 흡수되지 않고 장속에 남아 폐색증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껌 안에는 당 알코올이라는 감미료 성분이 있는데 대장의 삼투압을 낮춰 뱃살을 물렁하고 느슨하게 만드는데 영향을 끼칩니다.

노약자는 더욱 위험한 껌 삼키기
신체 기능이 떨어지는 노인 및 소화력이 낮은 아이들의 경우에는 특히 더 위험한데요.
껌을 삼키다 기도에 걸려 호흡을 못해 질식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껌은 되도록이면 뱉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어린 아이의 경우 단 맛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양의 껌을 씹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못하도록 사전에 교육해주는 것이 중요하겠죠?

올바른 껌 씹는 습관
성인의 경우 껌을 지속적으로 오래 씹으면 근육이 계속 발달하게 되고 두꺼워져서 교근이 점점 비대해지면서 사각턱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성장기의 아이들 역시 뼈가 자라고 있는 상태임으로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요.
또한 한쪽으로만 껌을 씹을 경우 한쪽 턱 관절에만 지속적으로 자극이 가게 됩니다.
이런 습관은 결과적으로 껌을 씹는 쪽 턱근육만 발달하고 얼굴이 비대칭으로 변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껌을 포함한 음식을 섭취하거나 식사를 할때 양쪽 턱 모두를 사용해서 골고루 씹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또한, 껌을 씹는 적정시간은 최대 20분을 넘기지 않도록 하며 꼭 휴지등을 이용하여 뱉어야 한다는 점! 기억하세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위암 초기 진단 받았어요..” 함께 먹으면 몸 속으로 대량의 발암물질이 흡수되는 최악의 궁합 식품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