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류(고기)는 단백질 영양소가 풍부하고 맛까지 좋아 반찬이나 술안주, 메인요리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즐겨먹는 식재료인데요.
그러나 일부 육류(고기)는 먹게 되면 우리 몸에 암세포를 생성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최악의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제암연구소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최악의 고기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된 가공육
단순히 구워먹어도 맛있고, 다른 요리에 첨가하여 먹어도 특유의 육즙과 고기 맛이 나는 가공육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인기있는 음식입니다.
그와 동시에 비교적 값이 비싼 돼지 고기나, 소고기를 쉽게 사먹을 수 없는 학생과 자취생들에겐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혀있는데요.
하지만 실상은 단순히 건강의 해로움을 넘어 치명적인 발암물질로 선정되었다는 것입니다.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가공육을 1군(Group1)발암물질로 분류했는데요. 1군 발암물질의 대표적인 예는 바로 담배연기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식사를 책임지는 가공육은 어째서 담배와 같은 발암물질로 선정되었을까요?

″음식이 아니라 독으로 변합니다!” 다시 데우는 순간 발암물질과 대장균을 생성하는 식품 7가지

가공육이 1급 발암물질로 선정된 이유
가공육에는 식품의 색소를 유지 또는 강화하기 위해 발색제(아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를 첨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변질을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보존료(소르빈산, 인식향산 등)가 사용되는데요.
이러한 식품첨가물이 조리 시 변형을 일으키거나 또는 몸속에서 발암물질을 생성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1급 발암물질로 선정 된 것입니다.

″암까지 유발할 줄이야….” 모르고 먹으면 오히려 독이 되는 편의점 식품들

섭취할수록 암 위험이 늘어나는 가공육
국제암연구소에서는 가공육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며 매일 50g이상을 섭취할 경우 암 발병확률이 72%까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그러나 햄이나 소시지 등의 가공육이 1군 발암물질로 선정되었다 해서 무조건 섭취하면 안되는 것은 아닌데요. 중요한 것은 섭취하는 양과 횟수입니다.
애초에 지나치게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암을 제외하더라도 심혈관 질환이나 비만 등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잦은 섭취를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암을 키우는 1등 공신” 몸에 들어와 암세포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치명적인 식품

가공육을 안전하게 먹는 방법은?
가공육은 조리법에 따라 발암 위험성이 달라지는 식품입니다. 캠핑에서 먹는 바비큐 조리시 소시지를 직접 불에 닿게 하는 숯불구이는 가장 좋지 않은 조리법인데요.
인제대 환경공학과 박흥재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조리법에 따른 가공육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벤조피렌 등) 함량을 분석한 결과 숯불구이로 조리한 가공육이 1g당 12.7-367.8 ng(나노그램)으로 가장 많이 검출됐다고 합니다.
가장 좋은 조리법은 데치거나 삶은 방법으로 물에 데치거나 끓이면 트랜스지방과 인공첨가물은 물론, 다량의 염분이 배출되며 기존 제품보다 함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구워서 먹던 소시지나 햄을 구워먹기 보다 물에 데쳐 먹으면 물론 맛이나 식감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을 위해서는 보다 안전한 방법인데요.
발암 위험성 뿐 아니라 보틀리누스(botulinus) 식중독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연구결과 체내흡수율 500% 증가!” 매일 먹는 계란 ‘이것’과 함께 먹으면 암세포가 가장 싫어하는 조합이 됩니다

가공육의 발암물질을 완화해주는 최고의 식품 김치!
가공육을 섭취할 때 김치를 곁들이면 발암물질의 흡수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김치에는 유산균 외에 역시 대장암 예방 효과가 있는 식이섬유와 비타민C, 폴리페놀, 칼슘 등의 등의 성분이 풍부하고 들어있는데요.
이 성분들은 모두 가공육에서 생성되는 발암물질의 위험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김치의 양념으로 사용되는 마늘, 생강 등에 염증 억제 성분들이 다량 포함돼있어 가공육의 발암물질 독성을 상쇄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김치 유산균은 면역 세포인 T 세포를 활성화시켜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암을 유도하는 효소의 생성을 차단하며 발암물질에 달라붙어 함께 분해되거나 체외로 배설되게 만든다고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