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워 후 귀지를 제거하는 습관이 뇌 염증과 청력 손실의 주된 원인이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면봉이나 귀이개로 귀지를 잘못 팠다가 오히려 귀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청력이 떨어져 병원을 방문하는 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자주 하는 귀 청소가 초래하는 끔찍한 결과와 자주 하는 오해에 대해서도 알려드립니다.
➡ “아플 때 마다 먹으라더니..”난청과 이명, 만성두통에 시달리게 만드는 ‘이 약’의 무서운 진실
➡ 돈 몇 푼 아끼자고 ‘이것’ 자주 썼다가 귀가 썩는 병에 걸렸습니다
귀 청소 자주 했다 죽을 뻔한 사람들
습관처럼 귀지를 제거해 온 30대 여성의 끔찍한 귀 상태

습관적으로 귀지를 제거 해오던 30대 여성은 어느날 갑자기 귀에 이상 신호가 느껴졌다는데요.
고름이 나오고 간지럽고 잠을 못 자기 시작하고 그러면서 또 더 심해지고. 새끼손가락도 귀에 안 들어갈 정도로 귓구멍이 두꺼워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만성 외이도염으로 진단받아 각종 약을 복용하고, 처방 연고도 발랐지만 효과는 그 때뿐이었습니다.
귀 청소 잘못 하면 걸린다는 치사율 10%의 질환은?

위 사진은 귀를 자주 파던 67세 남성의 뇌 CT입니다.
주변보다 노랗게 보이는 곳이 뇌 뼈에 염증에 생긴 건데, 원인은 바로 면봉 솜의 잔여물이었습니다.
귀속 잔여물은 쉽게 귀 안쪽에 염증을 일으키고 귀 뼈를 타고 뇌 뼈까지 퍼질 수 있으며
치사율이 10%나 되기 때문에 고령, 당뇨 환자라면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 밖에 귀가 가렵고 따가우면 염증이 생긴 신호인데 이때 반복적으로 면봉을 사용하다가 청력이 떨어진 사례도 있습니다.
이처럼 외이도 염증은 지병이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또는 증상이 오래 지속될 경우 쉽게 중증으로 진행 될 수 있습니다.
➡ 면역력을 파괴하여 암, 백혈병 등 모든 질병에 1순위로 노출되게 만드는 ‘이것’의 정체?
➡ 배우 윤계상이 느꼈다는 뇌출혈이 터지기 직전의 ‘이 증상’
외이도와 귀지의 상관관계?

귀지는 지방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막아주고, 산성을 띄고 있어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고 외이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귀를 파는 과정에서 이러한 외이도에 상처가 생기면 세균증식으로 귓속 건강이 나빠지고 외이도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
➡ 거울을 보고 혀를 내밀었을 때 ‘이런 모양’이면 뇌졸중 위험신호입니다.
➡ ‘이 곳에’ 갑자기 흰머리가 난다면 뇌혈관 터지기 직전의 상태입니다!
귀지가 많으면 청력에 이상을 줄까요?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귀지가 많아도 소리를 듣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으며, 외이도, 고막의 피부는 바깥을 향해 드러나 있으므로 내버려둬도 귀지는 자연스레 밖으로 떨어져 나갑니다.
드물지만 귀지가 외이도를 완전히 막는 경우, 귀지 제거 능력이 약하다면 덩어리가 되어 외이도를 폐색시키거나 난청이 유발되어 청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때는 병원에서 간단한 처치를 통해서 귀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 아침 대용으로 이것 자주 먹었다가 면역력 개박살나서 대상포진까지 걸렸습니다
➡ 식후 입가심으로 이것 자주 먹었다가 대장암 2기 판정 받았습니다.
귀청소 안전하게 하는 방법

세수나 샤워 이후 귀에 들어간 물을 제거하면서 귀 청소를 하기 위해 면봉, 수건을 사용해 습관적으로 귀지를 파내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귀 건강에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
귓속에 물이 들어간 경우에는 물을 닦아내기 위해 면봉으로 귀 깊숙한 곳을 긁어내는 것보다 귀 입구의 물기만 가볍게 닦고 선풍기나 드라이기의 찬바람으로 귀를 짧게 말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물이 들어간 귀가 있다면 아래 방향으로 기울여 물이 자연적으로 배출되게 해야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