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쌀은 한국인의 주식으로 종류만 해도 백미, 현미, 흑미 등 다양하게 나뉘는데요.
그러나 일부 쌀의 경우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절대 먹으면 안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실제로 이것을 몰랐던 경기도 광주의 한 여성은 계속해서 이 쌀을 먹었다가 대장암까지 발병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절대 먹어서는 안되는 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곰팡이가 핀 쌀은 먹으면 안됩니다!
우리가 먹는 쌀은 보관하는 방법 및 날씨의 영향으로 산패하거나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부 음식의 경우 곰팡이가 피더라도 떼어내고 먹으면 괜찮은 경우가 있지만 쌀은 그렇지 않은데요.
쌀에 곰팡이가 피게 되면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등 신체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독소들이 생성됩니다.
아플라톡신은 1급 발암물질로 독성이 매우 강하며, 대장암, 위암, 간암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절대 먹으면 안 됩니다.

쌀에 곰팡이가 피고 상하는 이유는?
쌀은 당장 상하는 식품이 아니다 보니 구매했을 때의 포장재 그대로 상온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고온 다습한 환경이 지속되면 쌀에게도 힘든 시기가 찾아옵니다.
제대로 밀폐되지 않는 경우 쌀을 먹이로 하는 벌레가 찾아 들어올 수 있습니다.
고온에 계속해서 노출되는 경우는 산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밥을 했을 때 맛이 좋지 않게 됩니다.

먹으면 안되는 쌀 구분방법
쌀에 핀 곰팡이는 색깔, 냄새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곰팡이가 피었을 경우 회색이나 검은색, 초록색을 띠며, 곰팡이 특유의 퀘퀘한 냄새를 풍기는데요.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면 쌀을 물에 씻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정상적인 쌀은 씻었을 때 흰색 쌀뜨물이 나오지만, 곰팡이가 피면 검은색, 파란색 물이 나오게 됩니다.
이 경우 즉시 버려야 하며, 쌀 내부에 생성된 곰팡이 독소는 세척하거나 열을 가해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쌀을 상하지않게 관리하는 방법

깨끗한 페트병에 보관하세요.
쌀의 보관 방법으로 가장 이상적인 것은, 바로 페트병에 넣어 냉장고(야채실)에 보관하는 것입니다.
깨끗한 페트병에 보관후 뚜껑을 꽉 닫으면, 습기를 차단해 산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냉장고를 통해 저온에 보관하게 되면 쌀이 상하는 속도를 70% 이상 늦출 수 있습니다.

개봉한 채로 보관하지 않는다.
쌀은 온도가 낮은 장소에 진공 상태로 수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특히 봉투채로 싱크대 밑에 보관하는 방법은 공기가 항상 쌀과 마주하기때문에 매우 좋지 않습니다.
봉투는 온도나 냄새를 통하게 하므로, 쌀통이나 밀폐용기 등에 보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남은 쌀 위에 새 쌀을 부어 보관하지 않는다.
쌀통에 쌀이 적어졌다고 해서, 그 위에 바로 쌀을 부어 담아서는 안됩니다.
오래된 쌀의 쌀겨가 새로운 쌀을 빨리 상하게 만들기 때문인데요.
서로 나누어 보관하다가 쌀통에 담겨 있는 쌀을 다 사용한 후, 새로운 쌀을 담아야 합니다.

고추와 함께 보존하세요.
잘 말린 고추 2~3개를 페트병에 함께 넣어서 쌀과 보관하면 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오래된 쌀로 맛있게 밥 짓는법

쌀이 오래 된 경우에는, 밥을 지을 때 샐러드유나 꿀을 한 스푼 정도 함께 넣으면 광택이 도는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