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자면 어깨 등 다 망가집니다” 몸 건강을 망치는 잘못된 수면 자세

안녕하세요~ 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를 전해드립니다! 💪당신도 건강하고 싶은 건강?

잘 자야만 건강하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 있으시죠?

두 팔을 번쩍 올려서 마치 만세를 하는 것처럼 자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잘 때 만세를 하고 자는 것은 각종 질환과 근골격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신호인데 자세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가 느리거나 좀 더 간편하게 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관련 유튜브 영상을 첨부합니다.



사실 만세 자세로 자는 건 ‘불편’해야 정상입니다.

팔을 들어 올리면 어깨가 함께 들리면서 목과 어깨 사이 근육이 짧아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만세 자세가 편하다면 근골격계에 불균형이 왔다는 뜻인데요.

등이 뒤쪽으로 과하게 굽었거나, 양쪽 어깨가 뭉쳐 긴장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근골격계 질환이란?

근육, 뼈, 신경, 관절, 인대 등의 문제로 통증이나 신체기능의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하지만 미세한 손상이 반복되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더 많은데요.

심한 경우 기능적 제한을 일으키며 직업 활동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주기 때문에 개인, 사회적 부담이 됩니다.

스마트폰, 컴퓨터와 같은 기기들이 일상화된 현대인들은 근골격계 질환에 매우 취약한 생활 습관을 지니고 있고, 실제 살아가면서 이러한 질환에서 자유롭기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증상이 발생했을 때 잘 관리하여 통증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빠른 시일 내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합니다.



올바른 자세로 자야 합니다.

상당수의 근골격계 질환은 치료보다는 관리의 개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매우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예방과 관리법에 대해 일일이 설명하기는 쉽지 않은데요.

다만, 일반적인 원칙에 근거하자면 근골격계 질환이 발병을 막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른 자세와 올바른 생활 습관입니다.

우리 몸이 일한다는 건 근육이 쓰인다는 뜻인데, 이때 여러 근골격계 구조물들이 함께 움직이게 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바른 자세는 보기에 좋을 뿐 아니라 여러 구조물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고 무리를 가장 덜 받는 자세를 말합니다.



바른 자세를 위해서는 앉거나 서 있을 때 턱을 당기고 머리가 앞뒤 혹은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게 해야 합니다.

귓바퀴에서 아래로 선을 그었을 땐 그 선이 어깨의 가운데로 오도록 해야 하는데요.

어깨는 뒤로 펴서 가슴을 넓게 하고 척추가 곧바로 펴도록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잘 때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신경 써야 하는데요.

가장 잘 실천할 수 있는 자세는 반듯이 누워 자는 자세입니다.

반듯이 누운 자세는 척추의 곡선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몸이 가장 안정적으로 느끼는 좌우 대칭으로 압력이 가해져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아 좋은 자세로 추천됩니다.